나비키스 / 장옥관
물이 빚어낸 꽃이 나비라면
저 입술, 날개 달고 얼굴에서 날아오른다.
눈꺼풀이 닫히고 열리듯
네게로 건너가는 이 미묘한 떨림을
너는 아느냐
접혔다 펼쳤다 낮밤이 피고 지는데
두 장의 꽃잎
잠시 머물렀다 떨어지는 찰라
아, 어, 오, 우 둥글게 빚는 공기의 파동
한 우주가 열리고 닫히는 그 순간
배추흰나비 粉가루 같은
네 입김은 어디에 머물렀던가?
- 시집『달과 뱀과 짧은 이야기』
젊은 남녀는 만난 지 평균 일주일이면 키스를 감행한다고 한다. 첫 키스까지 걸리는 시간이 한 달을 넘는 경우는 드물고 그럴 땐 오히려 주위의 조롱이 되기도 하는 세상이다. 푸른 시절 모든 사랑의 단계들이 신비롭고 조심스럽기만 해서 손 한번 잡는데도 몇 달이 걸리곤 했던 선도 높은 두근거림은 이제 오간데 없다. 손을 잡고, 팔짱을 끼고, 포옹하고, 입을 맞추는 진도를 차곡차곡 충실히 밟았을 땐 친구들이 "어디까지 진도 나갔어?"라며 초롱초롱한 호기심으로 물었지만 지금은 "잤냐?" 라는 간략한 질문을 던질 뿐이다.
그런 세상에서 첫 키스의 미세한 떨림, 지상의 모음을 죄다 끌어 모아 빚어내는 한 호흡의 입맞춤을 어디 풍문으로나 들을 수 있겠는지. ‘두 장의 꽃잎 잠시 머물렀다 떨어지는 찰라’가 ‘한 우주가 열리고 닫히는 그 순간’이 되어 토네이도가 되기도 하는 ‘나비키스’를 이런 시나 읽으며 지그시 눈감고 그려내지 않으면 어디에서 건질 수 있으랴.
사실 한번 나간 진도는 후진하지 않는다. 어제는 진한 '프렌치키스'를 했는데, 오늘은 가벼운 ‘나비키스’만으로 어제와 같은 떨림을 느낄 리 만무하다. 사랑의 선행조건단계나 도약단계를 건너뛰고 뜨겁게 성숙단계에 진입했다면 탐색의 과정에서 얻을 수 있는 수많은 설렘과 고양된 느낌, 사랑의 화학작용과 발효된 교감은 찾아올 수 없는 것이 되고 만다.
인간의 가장 큰 성기는 '뇌'라는 말이 있다. 감정이 최대한 실린 분위기 있는 키스를 규칙적으로 하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평균 5년은 더 장수한다는 보고서도 있다. 그렇다면 양질의 장수물질인 ‘배추흰나비 粉가루 같은 네 입김은 어디에 머물렀던가?’
'권순진의 맛있는 시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꽁치와 시 / 박기섭 (0) | 2018.06.17 |
---|---|
의자 / 조병화 (0) | 2018.06.17 |
첫 눈 오는 날 / 곽재구 (0) | 2018.06.17 |
그대에게 / 최영미 (0) | 2018.06.17 |
그리운 남풍 2/ 도광의 (0) | 2018.06.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