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순진의 맛있는 시읽기

라디오와 같이 사랑을 끄고 켤수 있다면/ 장정일

모든 2 2018. 6. 17. 14:49

 

 

라디오와 같이 사랑을 끄고 켤수 있다면/ 장정일

 

 내가 단추를 눌러 주기 전에는

그는 다만

하나의 라디오에 지나지 않았다.

 

내가 그의 단추를 눌러 주었을 때

그는 나에게로 와서

전파가 되었다.

 

내가 그의 단추를 눌러 준 것처럼

누가 와서 나의

굳어 버린 핏줄기와 황량한 가슴 속 버튼을 눌러다오.

그에게로 가서 나도

그의 전파가 되고 싶다.

 

우리들은 모두

사랑이 되고 싶다.

끄고 싶을 때 끄고 켜고 싶을 때 켤 수 있는

라디오가 되고 싶다.

 

- 시집 ‘길안에서의 택시잡기’ 중에서 -

 

 

 패러디는 어떤 작품을 모방해 새롭게 재창조하는 것으로, 비판적 의도로 쓰진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 시는 김춘수의 ‘꽃’을 패러디하여 ‘사랑’을 풍자한 독자적 문학 행위인 동시에 전혀 새로운 작품이라 할 수 있다. 김춘수의 꽃이 관념적 존재라면 장정일의 라디오는 가시적이고 구체적이다. 이름을 불러주는 것만으로 꽃의 의미가 살아나는 건 아니고, 단추를 꾹 눌러주어야 비로소 사랑이 작동된다.

 

 더 이상 사랑은 온건한 정서적 행위가 아니라 건조하긴 해도 버턴을 누르고 전파가 오가야 그 꽃이 피어나는 구체적 행위다. 쉽게 만나고 헤어지는 사랑의 편의와 실용을 비판하는듯하지만 결국 이 전파는 나와 그 누군가를 이어주는 존재이면서 사랑의 감정 그 자체이기도 하다. 다만 그 실용이 지향할 만한 것인지 천박한 것인지는 좀 더 생각해봐야겠다. 

 

 김춘수의 꽃에서 보여주는 전통적 사랑이 진지하고 묵직하게 인간의 존재론적 의미를 노래했다면, 이 시는 그와 반대로 가볍고 감각적인 어투로 사랑의 세태를 풍자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만약 이 시의 뒤에 숨은 다른 의미가 있다면, 과연 사랑을 편하고 가볍게만 받아들이고 일회용품처럼 소비되는 현대 산업 사회에 대한 교과서적 비판뿐일까 하는 의문은 여전히 무겁게 남는다.

 

'권순진의 맛있는 시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먼 불빛 / 이태수  (0) 2018.06.17
나뭇잎 하나/ 김광규  (0) 2018.06.17
먹어도 먹어도 / 이대흠  (0) 2018.06.17
늙은 시인의 가을은/ 백형석  (0) 2018.06.17
11월 / 나희덕  (0) 2018.06.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