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신의주 유동 박시봉방/ 백석
어느 사이에 나는 아내도 없고, 또,
아내와 같이 살던 집도 없어지고,
그리고 살뜰한 부모며 동생들과도 멀리 떨어져서,
그 어느 바람 세인 쓸쓸한 거리 끝에 헤메이었다.
바로 날도 저물어서,
바람은 더욱 세게 불고, 추위는 점점 더해 오는데,
나는 어느 목수木手네 집 헌 삿을 깐,
한 방에 들어서 쥔을 붙이었다.
이리하여 나는 이 습내 나는 춥고, 누긋한 방에서,
낮이나 밤이나 나는 나 혼자도 너무 많은 것 같이 생각하며,
딜옹배기에 북덕불이라도 담겨 오면,
이것을 안고 손을 쬐며 재 우에 뜻없이 글자를 쓰기도 하며,
또 문밖에 나가디두 않고 자리에 누워서,
머리에 손깍지벼개를 하고 굴기도 하면서,
나는 내 슬픔이며 어리석음이며를 소처럼 연하여 쌔김질하는 것이었다.
내 가슴이 꽉 메어 올 적이며
내 눈에 뜨거운 것이 핑 괴일 적이며,
또 내 스스로 화끈 낯이 붉도록 부끄러울 적이며,
나는 내 슬픔과 어리석음에 눌리어 죽을 수 밖에 없는 것을 느끼는 것이었다.
그러나 잠시 뒤에 나는 고개를 들어,
허연 문창을 바라보든가 또 눈을 떠서 높은 턴정을 쳐다보는 것인데,
이 때 나는 내 뜻이며 힘으로, 나를 이끌어 가는 것이 힘든 일인 것을 생각하고,
이것들보다 더 크고, 높은 것이 있어서, 나를 마음대로 굴려 가는 것을 생각하는 것인데,
이렇게 하여 여러 날이 지나는 동안에,
내 어지러운 마음에는 슬픔이며, 한탄이며, 가라앉을 것은 차츰 앙금이 되어 가라앉고,
외로운 생각만이 드는 때쯤 해서는,
더러 나줏손에 쌀랑쌀랑 싸락눈이 와서 문창을 치기도 하는 때도 있는데,
나는 이런 저녁에는 화로를 더욱 다가 끼며, 무릎을 꿇어 보며,
어니 먼 산 뒷옆에 바우섶에 따로 외로이 서서
어두어 오는데 하이야니 눈을 맞을, 그 마른 잎새에는
쌀랑쌀랑 소리도 나며 눈을 맞을,
그 드물다는 굳고 정한 갈매나무라는 나무를 생각하는 것이었다.
한국 근대문학사의 대표적인 시인으로 우리는 흔히 김소월과 박목월을 꼽으며 ‘북에는 소월, 남에는 목월’ 이란 식으로 말해왔다. 그러나 지금은 소월의 자리엔 같은 고향사람인 백석을 올려놓는데 이의를 달 사람은 별로 없을 것 같다. 그렇다면 남측에도 목월 보다는 미당 정도는 되어야 격이 맞을 듯 싶다.
1988년 서울올림픽 개최 무렵 해금된 시인 백석에 대한 평론가들의 찬사는 가히 최상급이다. '가장 한국적인 시'(유종호) '한국시가 낳은 가장 아름다운 시'(김현) '우리 문학의 북극성'(김윤식) 등등등. 또한 백석의 첫시집 ‘사슴’을 한국 문학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 시집으로 간주한다. 문학에 신드럼 현상을 불러일으키는 일도 극히 이례적인데 그것도 독자가 아닌 문인과 평론가들에 의해 주도되었으니 그동안 백석이란 존재 조차 낯설었던 구시대 독자들은 그야말로 어안이 벙벙이다.
'권순진의 맛있는 시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람의 일 / 천양희 (0) | 2018.05.19 |
---|---|
식당의자 / 문인수 (0) | 2018.05.19 |
소나무를 만나/ 박곤걸 (0) | 2018.05.19 |
조탑동에서 주워들은 시 같지 않은 시 . 6 / 김용락 (0) | 2018.05.19 |
네가 그리우면 나는 울었다 / 고정희 (0) | 2018.05.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