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순진의 맛있는 시읽기

금년에 봄은 어떻게 왔는가/ 박순원

모든 2 2018. 4. 13. 23:49



금년에 봄은 어떻게 왔는가/ 박순원

 

야로밀, 요즘 내가 읽는

소설의 주인공이다 체코 아이다

금년에 봄은 어떻게 왔는가?

그 아이의 작문 숙제 제목이다

뭐라고 썼을까? 곱상하고

자만심이 강해 왕따를 당하던 그

아이는 뭐라고 했을까? 작문

선생님은 왜 이런 숙제를 내주었을까?

당시 체코 교과과정에 있던 상투적인

과젠가? 유럽의 어린아이들에게

내주는 전통적인 숙젠가?

금년에는 봄이 어떻게 왔을까? 당시

체코에는 유럽에는 과연 봄이

어떻게 왔을까?

요즘 한반도에는 봄이 어떻게 오나?

만일 내가 이런 숙제를 받으면 뭐라고

쓰나? 종다리 개나리 진달래 봄처녀

물이 오른 잔디 그리고 사월

사월 십팔일 사월 십삼일

그리고 뭐라고 쓰나?

야로밀은 자라서 시인이 되는데 독일은

나중에 통일이 되었는데 늘 오던 봄이

올해는 어떻게 왔을까? 나는

우리는 올해 어떻게

봄을 맞이했나?

 

- 계간 문학들2016년 여름호

........................................................

 

 시인이 읽은 소설은 체코 출신 작가 밀란 쿤데라의 1969년 작품 <의 다른 곳에>이다. <삶의 다른 곳에>란 제목을 쓰는 다른 번역본도 있다. 쿤데라는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농담> 등으로 국내에 잘 알려진 작가다. ‘야로밀이란 시인의 일생을 그린 이 작품에서 쿤데라는 시인이 위대한 역할을 수행했던 때는 1945년 이후 공산주의 혁명들이 일어난 시기였다고 말한다. 그렇다면 시는 혁명에 복무해야 하는 것일까. 케케묵은 질문일지 모르지만, 아니면 이념이나 이데올로기와 무관하게 순수예술로 남아야 하는가.


  ‘야로밀은 체코어로 봄을 사랑하는 남자혹은 봄에게 사랑받는 남자를 의미한다. 당시 사회주의 국가인 체코의 시인 야로밀에게 시는 무엇이며 그는 어떤 시를 썼을까. 결론부터 말하면 야로밀은 순수와 참여의 갈등 속에 내던져져 그 사이에서 분열하고 고통 받다가 결국 쓸쓸한 최후를 맞는다. 자본가 기득권 계급과 노동자 계급 간의 투쟁에서 노동자의 승리는 사회주의 국가를 건설했다. 하지만 예술은 현실에 대한 투쟁과 모순에 대한 비판을 포함하긴 하지만 그것을 넘어서는 것이어야 했고, 궁극엔 이념 대립에서도 자유로워지고 싶었다.


  그럼에도 현실에 초연한 예술을 한다는 것은 당시 사회주의 국가에서는 용인되지 않는 반동이었다. 예술은 현실에 철저히 참여하고 복무해야 한다. 야로밀은 그 사이에서 심하게 흔들렸다. 2차 대전 이후 소련의 영향아래 있던 체코슬로바키아는 19681월 개혁파 두브체크에 의해 찾아온 프라하의 봄으로 짧게 봄을 만끽했지만, 그해 늦여름 소련의 침공에 의해 막을 내렸다. 이 시기를 겪으며 쿤데라는 시가 무엇이고 문학이 무엇인지를 진지하게 탐구한다. 삶과 예술, 문학과 혁명에 대해서 이보다 더 묵직하게 고민한 작가는 없으리라.


  문학은 어쩌면 현실과 허구를 동시에 말할 수 있는 유일한 영역일지 모른다. 삶에서 이 둘은 분명히 변별되지만 소설에서는 굳이 분리할 필요가 없으며 작가는 소설 속에 개입하여 자기 목소리를 내기도 한다. 문학을 통해 독자들은 현실이 말해주지 못하는 무언가를 만나게 된다. 어떤 사회가 하나의 이념에 붙들려 있을 때 소설이나 시는 그것 너머의 다른 곳을 보여준다. 이념이 전부는 아니며 모두 옳은 것도 아니다. 어쩌면 생의 다른 곳에인생이 있는지 모른다. 밀란 쿤데라는 야로밀의 비극적 최후를 통해 무엇을 말하려고 했을까.


  단 하나의 삶에 속박되지 않은 존재의 아름다움을 말하고자 했던 것은 아닐까. 야로밀이 사랑보다 이념을 선택했을 때 그는 사랑과 자신의 삶 전부를 잃었다. 그가 믿었던 이념은 그에게 어떤 행복을 주었던가. 그리고 그것은 비극만을 가져다주었는가. ‘금년에 봄은 어떻게 왔는가?’ 그리고 우리는 올해 어떻게 봄을 맞이하고 있나? 문재인은 왠지 자꾸만 안쓰러워지고 안철수는 갈수록 역겨워지고만 있으니 이 봄을 어찌 맞이할까. ‘생은 다른 곳에 있거나, 아니면 어디에도 존재하지 않는다.’는 밀란 쿤데라의 말처럼, 해답을 찾기보다 고민 그 자체를 통해 우리는 좀 더 자유로워질 수 있을까.



권순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