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2226

명화 <성경이 있는 정물>, 반 고흐가 복음 떠났다는 증거?

[서성록, 한 점의 그림] 기독교 정신을 근대 문학에서 발견한 반 고흐 일부 학자들 반 고흐 생애 절반 기독교 버렸다 주장 성경 옆 에밀 졸라 『삶의 기쁨』 소설 배치 증거 삼아 빈센트 생애에서, 기독교 신앙 중단 없었던 점 간과 동시대 문학 등장, 성경과 함께 읽으면 유익 알리려 뉘엔 시절에 제작한 (1885)은 (1885)과 함께 빈센트 반 고흐의 대표작으로 손꼽히는 작품이다. 이 등장인물을 신중하고 주의 깊게 처리한 데 비해, 은 갈색 테이블 위에 성경과 소설책을 숨가쁜 붓 터치로 그려낸 유화이다. 과 표현상 차이가 나는 것은 고흐가 암스테르담 국립미술관을 방문했을 때 렘브란트(Rembrandt)와 프란스 할스(Frans Hals)의 그림을 보고 받은 감동이 컸기 때문이다. 한 번의 붓질로 인물을 ..

그리스도의 빛 통해 우리 완전히 회복시키는, 반 고흐의 ‘불빛’

[서성록, 한 점의 그림] 낮은 곳에 임한 빛줄기, 농부들 관찰 대상보다, 삶과 존재방식에 더 관심 화려한 수사보다, 교감하는 진솔한 작품 더 원해 천정의 불빛, 지친 농부들에 생기 불어넣기 위함 불빛, 따뜻함뿐 아니라 일상 거룩한 공간 만들어 이성으로 해석 안 되는, 계시로서 하나님의 선물 미술을 전혀 다른 차원에서 응시한, 혁신적 화가 (Potato Eaters, 1885)은 고흐가 부모님이 계시는 뉘엔의 집에 돌아온 시기에 완성한 것이다. 반 고흐는 자주 야외 사생을 했는데, 어느 날 작업을 마치고 귀가하던 중 여동생 코르넬리아 데 흐로트(Cornelia de Groot) 가정의 식사 장면을 보고 이 그림을 착안하게 되었다. 고흐는 이 작품을 습작이 아닌 첫 완성작으로 여겼을 뿐 아니라, 일생 동안..

하나님 향한 기대 나타낸 명작, 반 고흐의 <해바라기>

[서성록, 한 점의 그림] 우정과 환대의 표상 자급자족하며 집중할 수 있는 화가 공동체 꿈꾸며 그려 동료 화가들 향한 기대, 강렬하고 뜨거운 화풍으로 표현 하나님 말씀과 은총 받아들이는 마음에 귀 기울인 소망 ‘광기의’ 반 고흐? 주만간산식 해석, 그는 ‘성경적’ 화가 빈센트 반 고흐는 1888년 2월 남부의 빛을 쫓아 프로방스에 도착했다. 이곳에서 반 고흐는 자신의 회화를 성숙시켜 절정으로 끌어올린다. 그는 먼저 작은 집을 빌려 노란색으로 단장한 후, 해바라기 꽃 그림으로 장식하였다. 이 작품은 연작 가운데 하나로, 반 고흐에게 ‘태양의 화가’라는 호칭을 안겨준 작품이다. 는 색채, 특히 노란색에 대한 열망으로 가득 찬 그림이다. 그림을 그리기 며칠 전에는 작열하는 남부의 태양을 동생 테오가 직접 와서..

반 고흐가 그림으로 담아낸 ‘그리스도의 사랑’

[서성록, 한 점의 그림] 어두움마다 비추는 불빛, 반 고흐 가스등에서 나오는 불빛, 침침한 공간 밝혀 여러 곳 가스등, 실제 광경 아닌 ‘연출’ 의도 방 안 사람들에 하나님의 자비와 위로 나눠 방황하는 사람들 찾고 계신 심정 표현한 것 헤밍웨이(Hemingway)의 단편 은 어느 카페의 모습을 줄거리로 삼고 있다. 밤이 깊었지만 카페안의 노인은 귀가할 뜻이 없어 보인다. 젊은 웨이터는 자신의 퇴근이 늦어질까 노심초사하지만, 동료인 나이든 웨이터는 노인을 서두르지 않고 참을성 있게 기다려 준다. 한참 후에야 노인이 계산을 하고 힘없이 나간다. 손님이 떠난 후 나이든 웨이터는 인생에서 무서운 것은 두려움도 공포도 아니며 바로 ‘허무’이고, 인생은 결국 허무하기 때문에 ‘깨끗함’과 ‘밝은 불빛’이 필요하다고..

반 고흐의 낡은 구두, 탄광에서 복음 전하던 시절…

[서성록, 한 점의 그림] 삶의 숨결 아로새겨진 화가가 낡은 신발 그리는 것, 흔치 않은 일 하이데거, 게르만 여성 건강성 그렸다 주장 샤피로는 반박하며 도시 노동자 소유 추측 반 고흐 선교사로 일하던 시절 착용한 구두 상처 많은 노동자에서 찾아낸 예수님 얼굴 화가 고흐, 국경 너머 그리스도의 사랑 전해 오랜 기간 기독 미술계를 지켜온 안동대 미술학과 서성록 교수님께서 ‘한 점의 그림’을 통해 독자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서 교수님은 과거 본지에 ‘명화감상’, ‘렘브란트를 찾아서’ 등을 연재하셨고, , , 등을 집필하셨으며 최근 기독 미술 전문가들과 을 펴내셨습니다. 여기서는 렘브란트의 ‘돌아온 탕자’를 분석하셨습니다. 뿐만 아니라 서성록 교수님은 개혁주의 예술론 연구를 이어오면서 기독교적 세계관에 기초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