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오의 언덕/ 서정주
보지마라, 너 눈물어린 눈으로는...
소란한 홍소(哄笑)의 정오천심(正午天心)에
다붙은 내 입술의 피묻은 입맞춤과
무한 욕망의 그윽한 이 전율을...
아--- 어찌 참을것이냐!
슬픈 이는 모두 파촉(巴蜀)으로 갔어도
윙윙거리는 불벌의 떼를
꿀과 함께 나는 가슴으로 먹었노라
시악시야! 나는 아름답구나
내 살결은 수피(樹皮)의 검은 빛
황금 태양을 머리에 달고
몰약(沒藥) 사향(麝香)의 훈훈한 이 꽃자리
내 숫사슴의 춤추며 뛰어가자
웃음 웃는 짐승, 짐승 속으로.
- 문예지 ‘조광(1939년 3월)’ -
이 시의 무대는 제주 서귀포 앞 바다의 ‘지귀도’란 섬으로 젊은 시절 미당이 석 달간을 머물면서 당시 방목된 사슴들을 배경으로 쓴 시다. 지금은 낚시꾼과 바다 다이버들만 즐겨 찾는 이 섬에서 미당은 사슴을 통해 인간의 근본 욕구인 '성욕'과 '공격욕'을 여실히 드러내어 보여준다. 무릇 인간은 이 두 본능을 은폐시키면서 살아가지만 동물의 세계는 그렇지 않음을 묘사하였다. 생태계 전체가 동식물이 가지고 있는 성욕과 공격욕을 바탕으로 유지되고 있으며 생존경쟁에서 살아남으려면 상대방을 공격하지 않으면 안 되고, 또한 종의 번식을 위해서는 성욕이 필수불가결한 것임을 말해주고 있다.
노천명 시인은 사슴을 ‘관이 향기로운 너는 무척 높은 족속이었나 보다’라고 노래했지만 사실 사슴의 관(뿔)은 고귀하고 미적인 것의 심벌이기 보다는 일부다처제로 번식해가는 수컷의 전투용 무기로 기능한다. 수많은 숫사슴들이 일 년에 한 번씩 일대 격투를 통하여 승자를 뽑는데 승자 독식으로 수많은 암컷들을 몽땅 차지한다는 것이다. 이 시는 그 싸움에서 승리한 숫사슴이 의기양양하게 부르는 승리의 노래라고 미당이 생전에 말한 바 있다. 또한 이 작품은 호화찬란한 궁전에서 수천 명의 후궁을 거느리며 사치스런 쾌락을 즐겼던 솔로몬의 아가(雅歌)에서 착상되었다고 하니 남자들의 '황제망상'과 권력욕구를 고도의 상징 기법으로 배설시키고 있다는 점에서도 매우 흥미롭게 읽힌다.
'권순진의 맛있는 시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둠의 단애 / 류 인 서 (0) | 2018.06.17 |
---|---|
행복론/ 최영미 (0) | 2018.06.17 |
여자를 위하여/ 이기철 (0) | 2018.06.17 |
여자/ 김운향 (0) | 2018.06.17 |
바람폭포에서/ 곽미영 (0) | 2018.06.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