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돌아갈 그립고 아름다운 별

아궁이 앞에서 불꽃을 피우는 사제를 생각한다

모든 2 2020. 6. 15. 23:08

한상봉의 내 돌아갈 그립고 아름다운 별-32

 

거칠게 또는 부드럽게, 이 사람

걷고 또 걷는다.
주저앉고 싶으면 언제라도 쉬었다 가지.
다그치는 사람 없이 몰아치는 마음 없이
걷고 또 걷는다.

걷다보면, 문득 나는 없고 아이가 있다.
사랑이 옮겨가듯이, 내 목숨도 옮겨가는가?
내 욕심을 거칠게 헐어낸 자리마다
마음을 부드럽게 덜어낸 시간마다
꽃무더기 사태가 나도록
발랄하게 떠오르는 얼굴이 있다.

한밤중에 목젖이 끈적해서 자리에서 일어났다. 어제 저녁에 윗집 아랫집 사람들이랑 오랜만에 맥주에 후라이드 치킨을 먹고 잤더니 입 안에 뭐가 잔뜩 고인 듯하다. 부엌에 들어가 냉수를 한 컵 마시고 입 안을 게워내는데, 창이 해밝다. 어제 아침부터 내리던 눈이 그치고, 하늘은 맑아서 보름달에 비친 눈세상이 그야말로 밝디밝다.

자박자박 걸음을 옮길 때마다 털신 밑창이 뽀드득거린다. 그리고 보았다, 달빛에 반짝이는 것들. 눈발은 하얗게 쌓여 사방에서 달빛을 받아 점점이 보석처럼 반짝거린다. 아마 푸근한 밤공기에 눈이 좀 녹아서, 유난히 달빛을 되받아내고 있는 모양이다. 대낮에 햇볕에 반사되는 눈[雪]빛은 강렬하게 눈[目]을 부시게 했는데, 부서지는 달빛을 받으면 하늘의 별처럼 빛난다.

사진출처=pixabay.com

요즘 틈틈이 심리학 공부를 하고 있는데 현대 심층심리학자인 카를 융에 관한 책을 읽다가, 어느 동료가 융에 대해서 이야기한 것이 눈에 들어왔다.

"융은 불을 피우는 일을 한번도 당연한 일로 생각하지 않았다. 그에게 그것은 언제나 놀라운 기적이며 신성한 작업이었다. 그가 장작을 쌓고 불을 피우는 방식은 아주 독특했는데, 번거롭고 어렵게 불을 피우는 미개인들의 방식과 닮은 데가 있었다. 마치 생사가 달려 있는 듯이, 또 한번 불이 붙으면 절대로 꺼뜨려서는 안 된다는 듯이 끝없는 인내심을 가지고 불을 준비하는 미개인들의 방식 말이다. 융은 종교의식을 올리는 듯이 그 일을 본능적으로 했는데, 힌두의 불꽃이 타오르면 불빛을 받은 그의 얼굴에는 태고의 사제와 같은 경건한 표정이 떠올랐다."(<카를 융>, 게르하르트 베어, 까치, 133쪽)

카를 융은 스위스의 취리히 호숫가에 돌탑을 쌓아 별장으로 삼았다. 그는 채석장에서 돌 깨는 법을 배우면서까지 집을 지었는데, 다 짓고 나니 둥근 탑 모양이 되었다. 호기심 많은 구경꾼이나 성가신 방문객들을 떠나 자신의 내면을 들여다봄으로써 심리학적 상상력을 높이려고 했던 융은 그 돌탑이 어머니의 자궁과 같다고 표현했다. 그는 돌 속에서 다시 태어난 듯한 느낌을 받았는데, 그 집에서 융은 동료가 미개인의 방식이라고 표현했던 그런 방식으로 살았다. 부엌에선 귀리죽과 훈제베이컨 냄새와 포도주 냄새가 나고, 연기에 까맣게 그을린 아궁이가 자리잡고 있다. 전깃불 대신에 횃불과 호롱불이 밝혀지고, 물은 우물에서 길었다. 그런 곳에서 장작을 패고 펌프질을 하고 요리를 하는 것이다. 거기서 아침마다 만다라를 그리고 명상에 잠긴다.

그는 단순한 사물과 생각과 마음을 나누길 원했다. 그리고 우리를 둘러싼 세계 안에서, 그 속에 깃들어 있는 정령이나 거룩함의 요소를 발견하고 회복하고 싶어했다. 집과 묘비에 ‘부르든 부르지 않든 신은 존재할 것이다’라고 새겨두었던 융은 제도 안에서 박제가 된 신이 아니라 인간의 내면과 생활 안에서 살아 있는 신을 원했다. 내가 지금 어떤 하느님의 이름을 부르고 있든지 상관없다. 내 마음속 깊은 곳에 연금되어 있는, 아직 호명되지 못한 거룩한 불꽃을 의식의 바깥으로 끌어올리려고 애쓰는 우주의 안간힘을 느낄 수 있는 사람은 그래서 복되다.

우리집 난방 문제는 겨울이 시작되기 전부터 계속 들고났던 화제였다. 새로 짓는 집들은 심야전기를 놓고, 어떤 집은 연탄보일러를 들여놓으면서 따뜻하게 한겨울을 지낼 수 있었다고 그걸 권했다. 지금은 마루에 화목 난로를 들여놓는 것 정도로 생각하고 있는데, 우리집에서 아궁이에 불을 지피는 것은 그저 난방을 위한 ‘일’이다. 그러나 융에 관해서 읽다가 되돌아보니, 내 생각이 짧다는 걸 실감한다. 거룩함은 어느 특별한 공간, 성소라고 불릴 만한 성당이나 절간에서만 발생하는 것은 아니다. 가끔 아내에게 “이 사람은 기도방이 없어서 기도를 못한데요”라는 핀잔을 들었던 것처럼 사실 거룩함은 물리적 공간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사람의 마음에서 발생하는 것이다. 산지사방에서 하느님을 부르고 내 안의 신성을 자극하는데, 나만이 응답하지 못하는 게 아닌가.

아궁이에 불을 붙이려면 먼저 산에 가서 나무를 자르고, 집으로 옮겨와서 토막을 내고, 도끼로 패어 장작더미를 쌓아놓아야 한다. 그걸 잘 말려두었다가 아궁이 안에 잔가지부터 장작까지 잘 쌓아야 불이 제대로 붙는다. 나무에 깃든 에너지를 발산하는 게 불이다. 불길이 거세질수록 불꽃은 더 강렬한 춤을 추며 구들을 달군다. 그리고 그 온돌방에 사람이 깃든다. 사람은 뜨뜻한 방에서 잠들고, 아침이면 편안했던 잠자리만큼 세상을 평화롭게 만들기 위해 일할 수 있다. 사람은 이런 방법으로 나무의 온기를 나누어 갖는다. 나무의 생명이 사람에게 건너가면서 보여주는 게 불꽃이다. 생명을 나누어주는 관계를 낳는 게 성령(聖靈)이라면 불꽃은 성령의 볼 수 있는 상징이 된다.

그런 점에서 볼 때 우리는 우리의 모든 삶을 전례(典禮) 차원으로 끌어올릴 수 있겠다. 그리고 자신을 일상 속에서 전례를 행하는 사제로 여길 수 있을 것이다. 카를 융은 여행중에 미국에서 뉴멕시코의 푸에블로 인디언을 만났는데, ‘산속의 호수’라는 뜻을 가진 오히비에 비아노 추장이 이렇게 말했다고 한다. “우리는 세계의 지붕에 사는 민족이며, 아버지 태양의 아들들입니다. 우리는 매일 종교를 통해서 아버지가 하늘 위로 올라가는 것을 돕고 있지요. 우리가 이런 일을 하는 것은 우리만을 위해서가 아니라 전세계를 위한 것입니다. 우리가 우리의 종교를 더이상 수행할 수 없다면, 태양은 10년 뒤 더이상 떠오르지 않을 것입니다. 그러면 밤이 영원히 계속되는 것이지요.” 그들처럼 사제인 백성이 되는 것은 자기 삶과 세상을 장엄하게 만드는 것이다.

사진출처=pixabay.com

 

아침에 일찍 일어나 숲 위로 떠오르는 태양을 바라보며, 우리가 다시 당신을 보게 됨을 스스로 경축하며 우리를 둘러싼 세계에 감사하는 것, 나뭇가지 사이로 포로롱 날아다니는 새에게 ‘안녕!’하고 인사하는 것, 자신의 몸을 구석구석 어루만져 주면서, 거룩한 영이 이끄시는 대로 내 마음과 한가지로 내 몸이 함께해 주기를 청하는 것, 내 집을 매일같이 봉헌하며 축성하고 세상 앞에 열어놓는 것, 내가 지금 하고 있는 일, 읽고 있는 책, 보고 있는 영화, 만나는 사람을 통하여 축복 가운데 있는 공간이 좀더 넓어지도록 기도하는 것, 해가 지면 휴식을 주시는 어둠에게 감사하고, 하루분의 수고를 나누어준 육신과 마음을 보살피는 것, 그리고 잠들기 전에 이 모든 빛나는 일상을 주신, ‘적어도’ 오늘 하루 거룩한 산과 들판과 거리와 사람을 만나게 해준 하느님께 감사하고 영혼을 의탁하는 것, 이 모든 게 전례이며 이를 행하는 자는 사제가 된다.

아침부터 빛나던 햇살이 눈을 녹이고 있다. 처마에는 고드름이 맺히다가 이내 미끄러져서 땅바닥을 적시고 있다. 신작로는 눈이 다 녹아서 남은 물기를 햇볕에 말리고 있다. 뒷집 처녀는 그동안 모아둔 나뭇가지를 땔감으로 쓰려고 톱질하고 있다. 새들은 분주하게 날아다니고, 하늘에선 비행기 날아가는 소리도 들린다. 소리가 있어도 소리가 없어도 하느님은 당신의 발길을 옮기신다.

 

한상봉 이시도로
<도로시데이 영성센터> 코디네이터
<가톨릭일꾼> 편집장

출처 : 가톨릭일꾼(http://www.catholicworke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