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일꾼 CATHOLIC WORKER

기후 위기와 코로나19 시대에도 대학이 필요한가?

모든 2 2020. 9. 22. 23:49

기후위기와 코로나19 시대에도 대학이 필요한가?

박병상

 

  반년 넘게 아침 10시가 되면 뉴스에 신경을 쓴다. 코로나19 현황을 질병관리본부에서 발표하기 때문이다.하루하루 일희일비하는 건,확진자 추이가 2학기 수업 방식과 연계될 거라 학교에서 통보한 까닭이다. 이러다 다음 학기도 비대면 온라인 수업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거 아닌가?

  법이 바뀌자 나이 든 강사를 외면하는 와중에 구제해준 대학이 있어 강의를 구차하게 이어간다. 학생들이 후하게 평가했기 때문일지 모르는데,자고로 평가는 엄정해야 한다. 다른 이를 평가하기에 앞서 평자는 자신을 냉정하게 반추해야 하건만,요즘 대학마다 준비 없는 학생에게 선생에 대한 평가를 요구한다. 엄정할 수 있을까? 대학마다 다르겠지만,평가 결과는 시간강사에 혹독할 수 있다. 강사 지위를 박탈할 빌미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인데,연연하지 않기로 맘먹은 지 오래다. 누가 뭐라 하든,수업 방식은 엄연한 개성이므로.

  대학에서 진리를 추구한다고? 진리는 무슨,진리가 만고불변이던가? 대학에서 선생은 자신의 소신으로 편견을 강의하고 학생은 수강한다. 싫으면 신청을 하지 않으면 된다. 실수로 신청해도 포기할 기회가 있다. 하지만 강사 인력이 열악한 대학은 다른 소신을 강의할 선생을 소개할 여력이 없는데,학생의 평가를 잣대로 강의를 없앤다고? 그런 분위기에서 자유로운 연구와 강의는 불가능하다. 대학에서 자리가 가장 불안한 자가 시간강사다. 평가에 목을 매는 순간 시간강사에게 소신은 기대할 수 없다. 쪼들리더라도 강의가 없어지는 게 차라리 낫다고 여기는데, 이번에도 그 대학은 계약을 연장했다.

 

리액션(reaction),자극에 대한 반응이다.진지한 질문과 뜨거운 토론? 학생의 취업이 최우선인 시대의 대학에서 과분한 덕목이다. 질문를 불편해 하는 분위기에서 토론 없는 강의가 보통인데,눈 마주칠 일 없는 비대면 온라인 강의는 교실과 리액션을 삭제했다. 프로그램에 따라 질문을 게시하지만,모니터에 거의 표시되지 않는다.

 

2019년 가장 주목받은 환경운동가 스웨덴의 그레타 툰베리(Greta Thunberg)가 올 7월20일 상금이 100만 유로에 달하는 '굴벤키안 상(Guilbenkian for Humamity)'을 수상했다고 언론이 보도했다. 상상할 수 없는 큰돈이지만,17세 툰베리는 "기후나 환경의 위기로 인해 영향을 받는 사람들을 최전선에서 지원하는 조직이나 프로젝트에 기부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올해 고등학교를 졸업한 그가 대학에 입학했는지 궁금하다. 입학했다면 금요일 첫 수업에 강의실에 들어갈까? 스웨덴의 대학들도 비대면 온라인으로 수업할까?

  청년의 앞날을 빼앗고 왜 공부하라 요구하는지 어른들에게 묻는 툰베리는 금요일이면 스웨덴 국회의사당 앞에서 집회를 주도했다. 당장 기후변화를 막을 책임 있는 행동에 나설 것을 기득권층에 촉구하면서,내일을 기대할 수 없어도 의무감으로 들어야 했던 수업을 공개적으로 거부했다. 툰베리가 다닌 고등학교는 행동도 소중한 공부라고 인정했는지 그에게 졸업장을 주었다. 스웨덴을 비롯해 유럽과 많은 국가의 청년들이 툰베리에 동의했고 우리도 일부 대안학교에서 동참했지만,어느 나라나 인문계 학생이라면 대개 대학입학에 몰입했을 것이다.

 

  대학은 왜 있을까? 기후변화가 심각해지면서 세계 곳곳은 예측 불가능한 기상이변과 그로 인한 재난에 거듭 휩쓸리는데,대학은 어떤 소중한 일이라도 절실히 수행하는가? 온갖 이론과 해결책이 발굴 제안되는 곳이 대학인데,사라지면 기상이변은 극심해질까? 그건 분명히 아니다. 기후변화의 원인과 현황을 이해하는 연구야 줄어들겠지만,대학은 애초 기후 변화를 예방하는 데 앞장서지 않았다. 오히려 기후변화에서 기후위기로 심화하는데 기여해왔다. 숱한 경험을 돌이키지 않더라도 유명하고 거대할수록,산업화에 앞장서온 대학은 기후변화의 원인을 제공하는데 최선의 능력을 발휘해 왔다.

 

 

  대학은 지식을 연마하는 곳인가? 그렇다. 하지만 기준을 기득권을 틀어쥐는 한,지식의 편견 없는 다양성은 결코 보장되지 못한다. 산업화,돈벌이를 위한 효율화에 치중하는 대학에서 쓸모없는 지식은 정을 맞는다. 교수의 지시로 연마한 지식도 쓸모가 사라지면 버림받는다. 득세하는 자본과 권력에 호응하거나 아첨하는 대학일수록 "청부지식'을 생산하고, 그 성과를 과시할수록 유명해진다. 그런 대학에 입학한 학생은 열심히 공부할수록 하수인으로 입문하기 쉽다. 졸업 후,화석연료를 과하게 소비하는 분야로 인생의 방향을 정할 가능성이 크겠지. 나중에 정신 차린 젊은이가 가끔 방향을 바꾸지만,그들은 사회에서 부딪히며 대안을 찾을 뿐,대학의 도움을 기대하지 않는다. 졸업생의 인생에 관심을 기울이는 대학은 없다.

  인천 남동공단의 어떤 중소기업 사장은 인재를 구하지 못한다고 언제나 하소연하는데, 자기 아이들은 일찌감치 유학을 보냈다. 회사를 물려줄려고? 그건 아닌데,대학 졸업한 아이가 보장이 없는 중소기업에 이력서를 내는 모습을 어떤 부모가 반길까? 사실 중소기업 직무를 위해 대학을 졸업해야 할 이유는 그다지 없다. 대학 졸업장이 필요할 정도로 전문성이 분명한 대기업 직무도 드물다. 예의와 상식이 있다면 전공은 물론,대학 졸업과 관계없이 누구나 도전할 수 있는 범위가 대부분이다.

  대학은 왜 있을까? 대학교수의 일자리를 위해 존재하는 건 아닐까? 지나치게 냉소적인가? 밴쿠버동계올림픽 금메달리스트 김연아 선수는 대학을 졸업했지만, 김연아를 배출했다고 지금도 자랑하는 그 대학에서 무엇을 배웠을까? 구글 인공지능 '알파고'와 대적해 유일하게 승점을 올린 이세돌 9단은 중학교 중퇴다. 그는 스스로 공부했는데,요즘 많은 프로 기사는 대학을 노크한단다. 체면 때문인가? 전문대학에서 손톱 미용 분야가 새롭게 뜨는 모양이다. 그 학과의 노련한 교수는 무엇을 강의할까? 손톱의 위생이나 해부학적 특성일까?

  이 글을 쓰는 자의 아버지는 한국전쟁 전에 대학을 어렵게 졸업했지만,아들에 거금을 투자한 할아버지에게 물려받은 농사를 지었다. 전문직업을 가진 아버지는 아들을 박사까지 공부시켰지만,교수가 못된 박사는 자신의 아이 모두를 대학 졸업으로 이끌지 못했다. 졸업한 아이도 전공과 관계없는 일에 매진하고, 복학을 포기한 아이는 제 인생의 갈피를 찾는 중이다. 하지만 남보기 번듯한 내일을 위해 오늘의 행복을 유예할 생각이 없다. 그래서 얼마나 다행인지 모르는데,사실 두 아이 모두 자신이 원했던 전공과 관계없는 일에 도전한다. 대학은 젊은이의 인생항로를 스스로 설계하는데 도움을 주지 않았다. 그러니 대학입학을 위해 퍼부었던 청년 시절의 시간과 에너지가 아깝다.

 

  코로나19가 없었던 시절,불과 두 세대 전? 이웃은 다정하고 서로 돕던 세상이었다. 그런 세상을 살아가는데 대학은 없어도 그만이었다. 그렇다면 코로나19 이후의 새로운 삶을 이야기하는 사람들,특히 대학에 적을 둔 지식인에게 묻고 싶다. 대학을 이대로 두고 "포스트 코로나19"를 논할 수 있나? 기후변화와 코로나19 창궐에 커다란 원인을 제공한 기득권,그 기득권에 편입하고자 버둥거리는 대학을 이제 버려야 옳지 않을까? 대학이 사라진다면 어떤 세상이 다가올까? 소비자의 필요에 바로 반응하는 중소기업은 인재로 넘치지 않을까? 심각해지는 코로나19와 기후위기는 필연적으로 식량위기를 부를 텐데,내일을 위한 농업에 투신하는 젊은이들이 지역에 늘어나지 않을까?

  대학은 언제부터 사회의 필수 통과의례가 되었나? 동서고금을 살펴봐도 그리 오랜 이야기가 아니다. 기득권에 아첨하는 지식이 넘치는 세상이 되면서 대학은 인재 창출보다 진입 장벽 구축에 몰두한다. 학위는 독선이다. 각종 자격증도 비슷하다. 학위증과 자격증 장사꾼을 위한 대학이나 학원은 기후위기와 코로나19 시대에 어울리지 않는다. 관측 이래 최대 기상이변이 속출하는 요즘,그들만의 성장과 번영을 추동하는 대학은 존재 가치를 잃는다. 한계를 외면하는 경제성장은 후손에게 범죄행위일지 모른다. 생존을 억압하므로,후손의 행복을 생각하는 목록에서 빠져 나간 대학은 이제 어떤 가치를 찾아야 할까?

  물려받은 열쇠수리 직업을 자랑스러워 하는 유럽의 젊은이가 우리 언론에 소개된 적이 있다. 20여년 전인데,그 나라도 요즘 디지털 자물쇠를 도입했을지 모른다. 그 열쇠수리공은 디지털 기술을 익혔겠지만,기후변화와 코로나19는 자본이 강요하는 에너지 소비를 혐오한다. 기후위기 극복을 위해 에너지 소비를 획기적으로 줄이는 시대가 열리면 수천 년부터 우리곁을 지켰던 열쇠수리공이 돌아오겠지. 코로나19이후의 세상이 지금보다 지속가능하려면 조판공이 사라진 출판계도 바뀔텐데,대학은 어떤 준비에 나서야 할까?